2.1. 설치 관련 일반 사항
2.1.1. MySQL 커뮤니티 서버가 지원하는 OS
2.1.2. 설치할 MySQL 배포판 선택하기
2.1.3. MySQL을 다운로드하는 방법
2.1.4. MD5 체크썸 또는 GnuPG를 사용해서 패키지 상태 확인하기
2.1.5. 설치 레이 아웃
2.2. 바이너리 배포판을 사용해서 MySQL을 설치하는 표준 방법
2.3. 윈도우에 MySQL 설치하기
2.3.1. 설치 패키지 선택하기
2.3.2. 자동 인스톨러를 사용해서 MySQL 설치하기
2.3.3. MySQL설치 마법사 사용하기
2.3.4. 구성 마법사 사용하기
2.3.5. 노인스톨 집 아카이브 (Noinstall Zip Archive)로부터 MySQL 설치하기
2.3.6. 설치 아카이브 풀기
2.3.7. 옵션 파일 생성하기
2.3.8. MySQL 서버 타입 선택하기
2.3.9. 처음으로 서버 시작하기
2.3.10. 윈도우 명령어 라인에서 MySQL 시작하기
2.3.11. 윈도우 서비스로 MySQL 시작하기
2.3.12. MySQL 설치 테스트하기
2.3.13. 윈도우 환경에서 MySQL 설치 문제 해결
2.3.14. 윈도우에서 MySQL 업그레이드 하기
2.3.15. 윈도우 MySQL과 유닉스 MySQL 비교하기
2.4. RPM 패키지를 사용해서 리눅스에 MySQL 설치하기
2.5. Mac OS X에 MySQL 설치하기
2.6. 솔라리스에 MySQL 설치하기
2.7. NetWare에 MySQL 설치하기
2.8. 다른 유닉스 유사 시스템에 tar.qz 패키지를 사용해서 MySQL 설치하기
2.9. 소스 배포판을 사용해서 MySQL 설치하기
2.9.1. 소스 설치 개론
2.9.2. 전형적인 configure 옵션
2.9.3. MySQL 컴파일 문제 처리하기
2.9.4. MIT-pthreads 노트
2.10. 설치 후 설정 및 테스팅
2.10.1. 윈도우에서의 설치 후 과정
2.10.2. 유닉스에서의 설치 후 과정
2.10.3. 초기 MySQL 계정에 대한 보안 설정
2.11. MySQL 업그레이드 하기
2.11.1. MySQL 5.1에서 5.1로 업그레이드 하기
2.11.2. MySQL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머신으로 복사하기
2.12. MySQL 다운그레이드 하기
2.12.1. MySQL 5.1으로 다운그레이드 하기
2.13. OS 관련 노트
2.13.1. Linux 노트
2.13.2. Mac OS X 노트
2.13.3. Solaris 노트
2.13.4. BSD 노트
2.13.5. 다른 유닉스 노트
2.14. 환경 변수
2.15. Perl 설치 노트
2.15.1. 유닉스에 Perl 설치하기
2.15.2. 윈도우에 ActiveState Perl 설치하기
2.15.3. Perl DBI/DBD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의 문제점
이 장에서는 MySQL을 다운 로드하고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을 한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을 한 다음에 나중에 보다 자세한 설명을 하기로 하겠다. 여러분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버전을 새로운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할 생각이라면, Section 2.11, “MySQL 업그레이드하기”를 참조하기 바란다.
1. 설치할 MySQL이 여러분이 사용하는 플랫폼을 지원하는지 검사. 모든 시스템이 MySQL을 구동 시키는데 적합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두기 바란다:
o MySQL 엔터프라이즈 서버의 경우에는, 다음의 링크에서 공식 지원 플랫폼을 확인한다: http://www.mysql.com/support/supportedplatforms.html.
o MySQL 커뮤니티 서버의 경우에는, Section 2.1.1, “MySQL 커뮤니티 서버가 지원하는 OS”에서 지원 플랫폼을 확인한다.
2. 설치할 배포판 선택. 대부분의 MySQL 버전은 몇가지의 배포판 포맷으로 제공된다. 여러분은 바이너리(미리 컴파일한) 프로그램 또는 소스 코드를 가지고 있는 미리 패키지 된(pre-packaged) 배포판을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이 의심스러울 경우에는, 바이너리 배포판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현재 개발 단계에 있는 제품을 보고 새로운 코드에 대해 도움을 주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현재의 소스 트리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도 함께 제공을 한다. 어떤 버전 및 타입의 배포판을 사용할 지 결정하기 위해서는, Section 2.1.2, “설치할 MySQL 배포판 선택하기”를 참조할 것.
3. 설치할 배포판 다운 로드하기. 다운 로드 방법에 대해서는, Section 2.1.3, “MySQL을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참조한다. 배포판의 완성도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Section 2.1.4, “MD5 체크썸 또는 GnuPG를 사용해서 패키지 상태 확인하기”를 참조한다.
4. 배포판 설치하기. 바이너리 배포판으로부터 MySQL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Section 2.2, “바이너리 배포판을 사용해서 MySQL을 설치하는 표준 방법”을 참조한다. 현재의 개발 단계 소스 트리 또는 소스 배포판을 사용해서 MySQL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Section 2.9, “소스 배포판을 사용해서 MySQL 설치하기”을 참조한다.
설치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에는, Section 2.13, “OS 관련 노트”를 참조하여 특정 플랫폼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바란다.
5. 설치 후 필요한 설정 작업 하기. MySQL을 설치한 후에는, Section 2.10, “설치 후 설정 및 테스팅”을 읽어보기 바란다. 이 섹션에서는 MySQL 서버가 올바르게 동작할 수 있게끔 만드는 방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초기 MySQL 계정에 대한 보안 작업을 하는 방법도 설명을 하는데, 이 초기 계정들은 여러분이 패스워드를 설정하기 전까지는 패스워드를 갖고 있지 않게 된다. 이 섹션은 여러분이 MySQL을 바이너리 또는 소스 배포판을 사용해서 설치했는지에 따라 적용이 된다.
6. 여러분이MySQL 벤치마크 스크립트를 구동 시키고자 한다면, MySQL용 Perl을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Section 2.15, “Perl 설치 노트”를 참조하기 바란다.